국토교통부는 ‘2024년 건물에너지 사용량 통계’를 통해 건물 용도별·지역별 에너지 사용량 기준(원단위) 을 최초로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원단위 지표는 단위면적(1㎡)당 에너지 사용량의 중앙값으로 건물의 용도와 지역별 특성에 따라 ‘표준 소비량’을 제시한다. 통계청은 올해 1월 원단위 지표를 국가승인통계로 지정했다. 국토부는 이를 토대로 향후 건축 설계기준은 물론, 에너지 효율 평가, 탄소 중립 정책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 기준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출처 :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941766642239768&mediaCodeNo=257&OutLnkChk=Y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속가능한 미래 주거모델 개발을 위한 공모전을 연다. LH는 오는 16일부터 이 같은 성격의 '아파트 신(新) 구조형식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벽식·라멘 등 기존 획일화된 아파트 구조 형식에서 벗어나, 초고층화·재건축 등 미래 주거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가변성과 경제성을 지닌 새로운 구조 대안을 마련하고자 기획됐다는 설명이다. 공모전 접수는 다음 달 29일까지 공모전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2단계 내외부 전문가 심사를 거쳐 9월 중 최종 결과를 발표한다. 출처 : 아시아투데이 (https://www.asiatoday.co.k)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5010008195
탄소중립의 시대, 건설업계에도 주목할 만한 전환점이 찾아왔다. 공공 건축물에만 적용되던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 의무화가 이제 민간 건축물까지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에너지공단이 올해부터 시행된 민간 부문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의무화 시행을 대비해 산업계 관계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6월19일 서울 세텍 컨벤션홀에서 민간 설계기준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출처 : kharn칸(https://www.kharn.kr/) https://www.kharn.kr/news/article.html?no=28109
[ 회 사 소 개 ] 에녹 엔지니어링은 2018년 12월에 설립된 건축물 에너지 성능개선 전문 컨설팅 회사로, 건축물의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녹색건축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및 에너지 성능분석·검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및 녹색건축 전환 지원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에녹 엔지니어링은 전문성과 사업 수행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공공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지속 가능한 녹색건축을 위한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향후 더욱 발전된 에너지 성능 개선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에녹 엔지니어링은 전문성과 사업 수행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공공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지속 가능한 녹색건축을 위한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향후 더욱 발전된 에너지 성능 개선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 회 사 연 혁 ] [ 사 업 분 야 ] [ 수 상 이 력 ] [ 수 행 실 적 ] [ 2 3 년 그 린 리 모 델 링 종 합 사 업 지
6월 30일부터 민간이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경우 ZEB(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수준으로 강화된 에너지기준이 적용된다. 공공부문은 ’23년부터 ZEB 5등급 인증이 의무화됨에 따라 에너지를 90㎾h/㎡yr 미만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민간 공동주택도 관련 기준 개정을 통해 이와 비슷한 수준(100㎾h/㎡yr)으로 에너지기준을 상향한다.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 절감과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이하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을 개정하고, 6월 30일(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고시 제2025-313호, 2025.06.19. 일부개정]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시행일 2025.06.30.]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1006 https://www.law.go.kr/LSW//admRulInfoP.do?admRulSeq=2100000260256&chrClsCd=010201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따라 서울특별시 노원구 내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녹색건축물의 확대를 통하여 탄소중립ㆍ녹색성장 실현 및 서울특별시 노원구민의 복리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시행 2025.03.21](제정) 2025.03.21. 조례 제1978호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2023119
지역 실정에 맞는 녹색건축물 조성을 촉진하기 위해 개정안을 마련하였으며, 주요내용은 ▲ 실태조사와 계획수립 ▲ 녹색건축물 조성지원 등의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시행 2025.03.20](전부개정) 2025.03.20 조례 제2205호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2022819
8월 월례이사회 지난 2025년 8월 13일(수) 협회 목적사업 및 탄소중립건축인증센터 운영계획 등 주요 KOSATA 진행 현황을 주제로 이사회 조찬모임을 진행하였습니다. ○ 일시: 2025년 8월 13일(수) 07:00 ∼ 09:30 ○ 장소: 신라스테이 역삼점 3층 조찬회의 주요 안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공기관 연구용역 진행현황 ■ 탄소중립건축인증 인증기관 운영계획 ■ 위원회별 사업 진행현황 ■ 기타 토의사항
우리 협회는 탄소중립건축인증 인증기관으로서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에서 주최한 심사원 정기교육(1차)에 참석하였습니다. ○ 일시 : 2025년 7월 31일(목) 09:00~18:00 ○ 장소 :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제1공학관 303호 ○ 주최 :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 [교육내용] 1) LCA 원론 및 건축물 LCA 2) 탄소중립건축인증의 이해 (운영지침, 인증기준, 평가방법 PCR) 3) 탄소중립건축인증 인증업무 이론 (서류평가, 현장평가, 심의평가) 4) 인증사례를 통한 인증업무 실무 (BEST-censor 이론 및 실무교육)
7월10일(목) ‘탄소중립건축인증’ 인증기관 간담회가 개최되었으며, 8개 인증기관이 간담회에 참석하였습니다. (사)한국녹색건축기술협회도 인증기관으로서 김민성 센터장님이 참석하여 인증의 활성화 방안 및 운영 체계 개선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운영기관의 인증기관 소개, 탄소중립건축인증 진행현황,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사례를 통한 인증내용 및 절차에 대한 설명이 있었고, 각 기관별 자유토론이 이루어져 운영체계를 비롯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 일시: 2025년 7월 10일(목) 16:30 ∼ 18:00 ○ 장소: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