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언
친환경건축 시장은 에너지절약계획서,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녹색건축 인증, BF인증 등의 법적 의무화를 시작으로 매년 인증 대상건축물이 확대 되어 왔으며, 특히 수도권 및 광역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시행에 따른 민간건축물 의무화로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역의 친환경 컨설팅 업체들도 매년 증가해 왔다.
하지만, 최근의 건설시장은 지방 미분양에 따른 주택건설경기 침체, PF 금리인상으로 인한 민간 건축시장 침체, 공공기관 발주물량 축소 등 지속적인 위축세로 우리업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지역과 수도권의 인증실적 비교
22년 이전 지역(서울, 경기지역 제외)의 컨설팅 용역 물량은 전체 대비 50%를 못미치는 실정이었으나 지역 지자체별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마련에 따른 민간물량이 점진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최근에는 수도권보다 인증 물량이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2년 이전까지는 예비인증이 본인증의 2배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25년 본인증 비율이 예비인증보다 증가한 것을 볼 때 지속적인 건설경기 침체로 인해 건축 허가건수가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BF인증의 경우 21년 12월 이후 공원인증 의무화, 별동 증축 및 전부 개축 건축물 인증 의무화로 확대됨에 따라 예비인증 실적이 증가되고 있다.

3. 지역 친환경컨설팅 시장 동향
지역별 상황은 차이가 있으나 녹색건축 설계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지역의 컨설팅 업무는 예비인증보다 본인증 업무에 비중이 높다. 민간대상 컨설팅 용역 보다 공공기관의 발주 비중이 높은 지역의 인증대상 건축물은 현상설계를 통해 설계자를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역제한 없는 현상공모는 타지역의 설계사가 당선되는 경우가 많고, 이는 해당지역의 컨설팅 업체 계약으로 이어지는 이유 때문이라 생각된다.
반면, 본인증의 경우 발주자측에선 수의계약 범위의 계약을 진행하려 하지만 원거리 현장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본인증을 수의계약금액 안에서 계약을 진행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역업체에 본인증 비중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우리업계는 20여년의 짧지 않은 기간 친환경건축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전문업종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고 인증업무 수행 실적만 확인되면 공공기관과의 계약에 제약이 없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프리랜서, 비전문가의 활동이 활발하다. 영업능력이 있는 비전문가가 수주한 용역을 프리랜서에게 재하도급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접하게 되는데 이는 지역업계의 저가수주경쟁을 심화하고 이로 인한 컨설팅 업무 품질 저하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구조로 인해 현장 공사가 활발히 진행 중 임에도 불구하고 예비인증이 완료되지 않아 공사에 차질을 빚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런 경우 공사감독, 현장대리인, 본인증 컨설팅사 모두 곤혹을 치룰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데 결과적으로 모든 문제를 시공사에서 떠 맡아 부담하는 것을 보며 우리 업계가 친환경 건축 품질 향상에 노력할 때 보다 많은 권한과 책임이 주어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우리 업계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친환경건축 전문엔지니어링업으로 조속히 제도화하여 자리매김 하길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