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2024년 농업·농촌 재생에너지 100%(RE100) 실증지원사업에 참여할 국내 시·군을 대상으로 대상자 공모를 진행합니다. 이 사업은 농촌 마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태양광 등을 통해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고, 건물의 열 손실을 줄이는 에너지 효율화 등을 통해 농촌마을의 에너지 자립을 구현하는 목적으로 마련되었습니다. 지원 대상 마을은 다양한 방법으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며, 2년간 종합적인 지원을 받게 됩니다. 농식품부는 지자체의 사업 적절성을 평가하여 사업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며, 이 사업을 통해 농촌 주민들의 탄소배출 저감과 지역 청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https://2050cnc.go.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43&boardNo=3007&searchCategory=&page=1&searchType=&searchWord=&menuLevel=2&menuNo=92
국토교통부는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개정안을 4월 12일부터 5월 2일까지 행정 예고한다. 이번 개정안은 신축 공동주택의 에너지성능을 제로에너지 5등급 수준으로 강화하여 온실가스 감축 및 국민의 에너지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개정 사항은 창호의 기밀성능, 열교환 환기장치 신규항목 채택 및 신재생에너지 설치배점 상향이며 이를 통해 현 에너지소비량 120kwh/㎡.yr 수준에서 100kwh/㎡.yr 수준으로 강화 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고시 제2024-52호] [시행] 2025. 01. 22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9640
서울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녹색건축물 설계 기준’이 2024년 1월부터 개정 시행되고 있다. 에너지절약계획서 제출 기준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 시행되고 있는 서울시 기준은 이번 개정으로 녹색건축 인증 등급기준이 완화 되었으나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기준을 강화 되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설치비율 및 설계기준에 신설된 분야가 있어, 서울시에 계획되는 신축건축물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것으로 보인다 [서울특별시 고시 제2023-555호] [시행] 2024. 01. 01 https://news.seoul.go.kr/citybuild/archives/522413?tr_code=sweb
건설경기 활성화를 유도하고 정부정책에 부응하고자 기존에 제시된 민간건축물에 대한 제로에너지 인증 적용에 대한 유예하는 내용의 행정예고를 개시하였다. [충청남도 공고 제2024-744호] [예고일] 2024. 04. 22 http://www.chungnam.go.kr/cnnet/board.do?mnu_cd=CNNMENU02364&mnu_url=/integeratedBoardView.do?board_seq=469922&code=601
국토교통부에서 지난 1월에 발표한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대상으로 녹색건축 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녹색건축물 확산’ 부문에서는 부산광역시, ‘건물에너지 성능’ 부문에서는 울산광역시, ‘정책 이행도’에는 서울특별시가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되었다.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89379
서울시는 건축물 소유주가 자율적으로 건물의 에너지사용량을 신고・확인하는 제도로서 사용량에 따라 A~E등급(5단계)으로 구분된다. 이 제도를 통해 동일 용도와 비슷한 규모 건물 대비 우리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정도를 가늠할 수 있으며, A,B등급은 서울시 공식 채널에 홍보 할 수도 있다. E등급 건물은 에너지 절감 무료 컨설팅, 에너지 효율개선 무이자 융자를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신고기간, 대상, 방법 등은 링크된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s://news.seoul.go.kr/env/archives/557947
에너지엑스는 2019년 2월 설립 이후 단 기간 내에 Zero-Energy Building / 제로에너지건축물(이하 “ZEB”) 건축 특화를 바탕으로 성장하여 국내 ZEB 기술 1위를 기록중에 있으며, 특히, ESG 및 탄소 중립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화에 대한 사업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벤처기업입니다. 현재까지 약 1,090건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총 건축 금액이 약 3.3조원에 달하는 등 국내 ZEB 건물 건축 시장에서 최고의 기술력 및 최대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입니다. 에너지엑스에서는 신축, 리모델링, 에너지전환(ESG, RE100, 탄소배출권)을 위한 에너지엑스의 독자적인 기술 1) “지속가능 AI 설계ㆍ관리 기술” 및 2) “BIPV & BAPV 시스템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3) “건축 플랫폼 서비스”라는 채널을 통해 에너지엑스의 기술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1) 지속가능 AI 설계ㆍ관리 기술 에너지엑스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및 엔지니어링 기술을 활용하여 건축 계획, 설계, 건물 유지보수 및 운영에 걸친 지속가능성, ESG, RE100 및 에너지 효율을
서울특별시에서는 2024년 2월 20일에 ‘건물 온실가스 관리평가 제도’에 대한 설명과 함께 질의응답의 시간과 간담회를 진행하였고, (사)한국녹색건축기술협회 대외협력위원회 안형준 위원장님이 참석하였습니다. 서울특별시에서는 공공 연면적 1천㎡이상 비주거건물, 민간 연면적 3천㎡이상 비주거건물을 대상으로 24년 현재 민간 자율 시행 중에 있으며, 25년부터 전면 시행 예정이라고 합니다. 시 관계자는 협회 차원에서 보유 또는 관리하는 건물의 적극적 참여를 요청하였습니다. 일시 : 2024년 2월 20일 주최 : 서울특별시 서소문1청사 1동 11층 회의실 참석 : 한국녹색건축기술협회(안형준 위원장), 한국건축물유지관리협회,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한국리츠협회
환경부는 개도국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24년 온실가스 국제감축 지원사업에 참여할 국내기업을 공모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전 지구적 기후위기 대응과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을 지원하며, 우리나라의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환경부는 2022년부터 온실가스 국제감축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국내기업에 사업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는 총 109억 원 규모입니다. [출처]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https://www.2050cnc.go.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43&boardNo=3004&menuLevel=2&menuNo=92
국토교통부는 2025년 1월 1일부터 기존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를 폐지하여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로 통합 관련법령을 개정하였다. 건축물을 에너지사용량 등 유사항목을 평가하는 제도가 통합되므로서 중복절차로 인한 행정적 낭비 요인을 최소화 하고,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 저감의 실효성이 커지길 기대해 본다. [법률 제20337호] [시행] 2025. 01. 01 [공포] 2024. 02. 20 https://www.law.go.kr/lsSc.do?menuId=1&subMenuId=15&query=%EB%85%B9%EC%83%89%EA%B1%B4%EC%B6%95&dt=20201211#liBgcolor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