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2009년 코펜하겐 기후변화 정상회의 이후, 정부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30% 감축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국가 정책으로 빠르게 실행해 왔다. 이로 인해 ‘친환경주택 건설기준’,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인증’ 등의 제도가 신설되었으며 기존의 녹색건축인증 제도의 기준 또한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이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전략이자 건축물 부문에서 탄소 중립을 실현하려는 중요한 정책적 흐름을 보여준다. 특히, 건축물 에너지 성능을 규정하는 에너지절약계획서의 부위별 단열 기준은 이러한 노력의 주요 부분이었다. 예를 들어, 1979년부터 2008년까지 약 30년간 부위별 단열 기준이 총 4회 개정되었으나, 2010년부터는 2~3년 주기로 단열 기준이 강화되었다. 이로 인해, 불과 10년이 채 지나지 않은 2018년에는 패시브하우스 수준에 근접하는 단열 기준이 의무화되었고, 이는 단기간에 적극적인 정책 변화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이행하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림 1 - 국내 단열 기준 연도별 변화 추이 2018년 IPCC 총회와 한국
한국의 건축물 부문은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의 약 34%를 차지하며, 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0년 기준 건물 부문은 국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4.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7.2%는 직접 배출, 17.5%는 전력 사용 등으로 인한 간접 배출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황은 건축물 부문이 국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판단되며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관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축물의 운영 단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가 건축물의 생애 주기 동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건물 운영 단계에서의 에너지 성능 관리와 지속적인 개선이 필수적이다. ※출처 : GlobalABC, The Globalabc releases 2022 global status report for buildings and construction 그러나 국내 건물의 대다수는 계획, 착공, 준공 등 인허가 단계에서 친환경, 저에너지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인증을 취득하는 데 주로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인증제도들은 건축물의 인허가 단계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후 운영 단계에서 건물의 용도 변경
지난 2024년 11월 12일(화) ‘녹색건축인증 제도 전면개정안 및 현안 공유’의 주제로 국토교통부 주최 및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관으로 「2024년 제4회 녹색건축 미래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본 포럼에서는 김민성 협회 부회장이 지정토론(패널토론)에 참석하였습니다. 1. 일시 : 2024년 11월 12일(화) 14:00 ~ 17:00 2. 장소 : 서울역 KDB타워 동자아트홀 3. 관련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F2Cp_bo6YMw&t=5s 아래는 지정토론 내용의 요약입니다. 1. 녹색건축인증전문가는 개인자격이므로 친환경컨설팅 업체를 포함 또는 업역 제한 규정 삭제 제안 2. 녹색건축신버젼 도입시기(25/06/01 예정) 연착륙 전략이 필요 제안) 공공시범사업 ▶ 공공전면 ▶민간전면 제안 3. 시행전 대량접수 시 인증 심사기간이 장기화 우려 4. 해설서 사전공유 및 녹색건축기술협회와 상호 협업 희망
지난 2024년 10월 22일(화)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한 자발적 탄소시장과 기후테크 산업육성-그 가능성과 과제”에 대한 주제로 서울특별시의회 주최 및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김춘곤 의원 주관으로 「2024 ESG 경영 활성화 및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관한 정책토론회」가 개최되었습니다. 본 포럼에서는 신지웅 협회장이 ‘내재탄소 및 운영탄소 저감 기술을 적용한 건물 부분 VCM 접근전략’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하였습니다. 1. 일시 : 2024년 10월 22일(화) 14:00 ~ 16:30 2. 장소 : 서울특별시의회 제2대 회의실(서소문 2청사 2층) 3. 관련 기사 링크 : 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241023500027 아래는 주제발제 내용의 요약입니다. ‘내재탄소 및 운영탄소 저감 기술을 적용한 건물 부문 VCM 접근저략‘이라는 주제를 통해 건축물 내재 탄소 감축 방안으로 탄소배출 저감형 공법 및 건축자재 사용, 재료를 CO2저장소로 사용하는 법, 목재의 활용 증대와 바이오시멘트 등의 신기술, 신제품 개발을 주장하며 뿐만 아니라 건축물 운영 탄소 배출 감축 방안 또한 필요하다. 일본 동경도
1. 주거부문 제도 변경내용 2025년부터 기존의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제도가 사라지고,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제도로 통합된다. 주거부문으로 한정하여 살펴보면, 민간 부문 30세대 이상 공동주택은 ZEB(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수준의 설계를 해야 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 기준은 2024년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1년 유예가 되면서 준비하고 대처할 시간을 벌었지만, 시행을 코앞에 둔 현재에도 여전히 건축업계에서는 아직 준비가 부족해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민간 확대시행에 따라 민간 분양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 및 품질향상, 입주자의 에너지 비용감소, 거시적으로는 국가의 탄소중립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어느 정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통합시행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인증처리 절차가 일원화되어 인증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공동주택의 경우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을 먼저 접수하고 1차 에너지소요량 및 에너지자립률 검토 완료까지 40여일,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을 접수하고 BEMS 시스템 검토까지 30여일, 총 70여일 정도의 심사 기간이 소요되고 있다. 하지만 인증 절차가 통합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1+등급 획득 외피 단열성능 향상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고효율 / 에너지 소비 효율 인증 기자재를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였다. 원격검침 및 월패드를 통한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으로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며 최적의 신재생에너지 계획을 통해 에너지효율등급 1+등급을 획득하였다. 녹색건축인증 일반등급 취득 자전거 주차장 설치, 에너지성능 1+등급 확보, 에너지 모니터링, 저탄소‧유해물질 저감 자재 사용, 절수형 기기 사용, 생태 면적률 확보,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방출 제품의 적용, 환기성능 확보, 바닥충격음 완충재 등의 적용으로 녹색건축인증 일반등급을 취득하였다. 설계공모 – 예비인증 – 본인증 각 설계 단계별 친환경성 향상 행복중심복합도시 4-2 생활권은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 제안 설계공모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코오롱글로벌(주), 동부건설(주) 컨소시엄이 당선 및 시공을 수행하게 되었다. 설계공모 당시 원안 대비 일조, 소음, 채광 등의 환경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에너지 성능 지표,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녹색 건축 인증 등의 친환경 인증 획득으로 주거 환경뿐만 아니라 에너지 성능까지 향상되었다. 친환경‧에
현재 장수명 주택 인증을 통해 용적률, 건폐율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인증등급은 최우수, 우수등급이며, 최우수 등급의 경우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을, 우수등급의 경우 80점 이상을 획득하여야 하나, 최우수, 우수등급을 획득한 사례가 없는 상황으로, 우수등급의 경우에도 양호등급과 20점의 차이가 있어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수등급 기준을 낮추어 건설사의 등급 상향 달성 노력을 유도하기 위해 장수명 주택 건설 인증 기준을 개선하고자 기준이 완화된 내용을 고시하였다.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4-526호] [시행일 2024. 09. 30] https://www.molit.go.kr/USR/I0204/m_45/dtl.jsp?gubun=&search=%EC%9E%A5%EC%88%98%EB%AA%85&search_dept_id=&search_dept_nm=&old_search_dept_nm=&psize=10&search_regdate_s=&search_regdate_e=&srch_usr_nm=&srch_usr_num=&srch_usr_year=&srch_usr_titl=Y
최근 건설업계에서 살기 좋은 아파트, 최상의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들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살기 좋은 아파트, 최상의 건축물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최상의 건축물이란 무엇일까? 돈을 많이 들이고 신기술, 신공법을 많이 적용하는 것이 최상일까? 최고의 높이를 자랑하는 것만이 최상일까? 단언컨대 살기 좋은 아파트, 최상의 건축은 “인간과 자연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1. 건설 흐름속의 중심에 서다. 기획설계단계부터 기본 및 실시설계, 시공 그리고 건축물의 생애주기까지 모든 과정에 있어 최상의 건축물의 조건을 갖추기 위한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기술제안, TK와 같은 경쟁입찰에서도 많은 프로젝트를 참여하여 대형 사업의 당선경험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종 심의 단계에서 건축심의 지원, 경관 심의, 교육환경평가 심의, 공공디자인 심의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본 및 실시 설계 단계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등 각종 인증 및 인허가 업무를 수행하고, 건축환경분석, VE/LCC/LCA 분석 등 지속가능한 건축물 구현에 앞장서 설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설사업관리(CM/Precon)
1. 건설산업과 탄소중립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은 전 세계적으로 전력의 탈탄소화, 건물·산업·교통 청정연료 전환, 에너지 절약, CO₂ 제거 등을 위한 저감플랜 협약들을 체결하였고 실행전략을 통한 구체적인 노력들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5년 11월 30일 개최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결정문에는 모든 당사국이 2050년까지의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수립하여 2020년까지 제출할 것을 명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도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더불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도 새롭게 설정하여 발표했으며, 2021년 10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하면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대폭 상향하였습니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 NDC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건설산업과 직접적 연관성이 있는 부문은 건물 부문인데, 건물 부문의 경우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2.8% 감축해야 하며, 2050년까지는 88%나 감축해야 하는 상황으로 향후 탄소중립 추진은 어렵겠지만 도전적으로 실행해야 할 과제로 판단됩니다. 2. 국내 탄소중립과 수소경제 생태계 연계 활성화 이렇듯 에너지소비 건축물들이
지난 2024년 09월 11일(수) 에너지공단 기획과제, 서울시 ESG사업 참여 및 민간자격증 등 주요 KOSATA 진행 현황을 주제로 조찬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1. 일시 : 2024년 09월 11일(수) 07:00 ~ 09:00 2. 장소 : 신라스테이 역삼점 3층 조찬회의 주요 안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시 및 유관기관들과 공동연구과제 추진전략 ■ 협회내 자격기준 마련 및 교육기관추진 방향 ■ 기타 토의사항